‘서울의 봄 뒷 이야기’ 실화 영화 행복의 나라 결말 리뷰

행복의 나라 2
(C)영화 <행복의 나라> 공식 포스터

“대한민국 최악의 정치 재판! 실화 영화”

지난 8월 14일, 故 이선균 배우의 마지막 모습을 볼 수 있는 영화 <행복의 나라>가 극장 상영을 시작했다. 영화 행복의 나라는 1979년 10월 26일에 일어난 대통령 암살사건에 휘말린 ‘박태주(이선균 분)’과 그가 정당한 재판을 받을 수 있도록 고군분투하는 변호사 ‘정인후(조정석 분)’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최악의 정치 재판을 그린 작품이다.

영화의 메가폰은 추창민 감독이 잡았다. 비록 가장 최근 극장을 찾았던 첫 스릴러 영화 <7년의 밤>은 혹평을 받았지만, <광해, 왕이 된 남자>, <마파도>, <그대를 사랑합니다> 등 깔끔한 연출 등으로 호평을 받은 바 있다.

common?quality=75&direct=true&src=https%3A%2F%2Fmovie phinf.pstatic.net%2F20240717 17%2F1721178305332flUKv JPEG%2Fmovie image
'서울의 봄 뒷 이야기' 실화 영화 행복의 나라 결말 리뷰 9

2024년 하반기 극장가 <파일럿>, <에일리언: 로물루스> 등 재미있는 영화가 쏟아지는 상황 속, 현재 행복의 나라는 박스오피스 3위 성적을 이어나가고 있다. 평점은 네이버 8.13(10), 왓챠 2.9(5), 키노라이츠 85.88%를 기록하고 있음.

과연 영화 속에서 어떤 내용을 만날 수 있을지 줄거리부터 결말 스포, 실화 스토리 등 궁금할 것들을 정리해보았다!

영화 행복의 나라 기본정보

(C)유튜브 채널 – 잇츠뉴 It’sNEW
  • 장르: 드라마, 법정, 시대극
  • 개봉일:2024.8.14.
  • 상영등급: 12세 이상 관람가
  • 상영시간: 124분(2시간 4분)
  • 손익분기점: 약 300만 명
  • 쿠키영상: X
  • 감독/각색: 추창민
  • 각본: 허준석
  • 출연: 조정석, 이선균, 유재명 외

🎬행복의 나라 영화 예매하기👀

🍿CGV / 롯데시네마 / 메가박스

행복의 나라 줄거리

common?quality=75&direct=true&src=https%3A%2F%2Fmovie phinf.pstatic.net%2F20240725 251%2F1721869945921co0EY JPEG%2Fmovie image
'서울의 봄 뒷 이야기' 실화 영화 행복의 나라 결말 리뷰 10

많은 사람들이 자유를 갈망하던 1979년 10월 26일 밤. 중앙정보부장의 지시에 의해 대통령이 암살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충격적인 사건에 대한민국은 큰 혼란을 겪고, 이 틈을 타 권력이 움직인다. 사건이 발생한 지 단 2시간 만에 대통령이 사망했다는 것을 알아내고, 또 6시간 만에 중앙정보부장을 시해범으로 지목된다.

한편, 사건을 맡은 변호인단은 중앙정보부장의 지시에 따라 대통령 암살 사건에 연류된 수행비서관 ‘박태주(이선균 분)’의 변호사 선임을 위해 골머리를 앓는다. 내란죄 재판은 모두가 변호하기 꺼려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생계형 변호사 ‘정인후(조정석 분)’는 이번 사건만 잘 해결하면 줄줄이 일거리가 들어올 것을 알았기에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렇게 인후는 태주의 변호를 맡기로 결심한다.

이번 사건에 연류된 인물을 총 8명. 특이사항이 있다면, 태주만이 유일한 군인이었기에 군법으로 재판이 진행된다는 것. 군법대로 진행한다면 판결 한 번으로 형량이 결정되는 단심이었기에 태주에게 매우 불리한 상황이었다.

그래서 인후는 이를 일반심으로 바꿔 3심이 진행되는 동안 여론을 바꿔야겠다는 꾀를 세운다. 하지만 강직한 군인이었던 태주는 이에 연연하지 않고 군법을 피하지 않겠다며 고집을 부린다.

행복의 나라 4
(C)영화 <행복의 나라> 스틸 이미지

그리고 용산 윤군 본부. 10.26사건의 합수단장이었던 ‘전상두(유재명 분)‘은 사건을 수습하려는 육군참모총장과 갈등을 겪는다. 이후 재판부와 검찰관, 변호인단이 모두 모인 자리에서 전상두는 인후를 주의 깊게 살펴본다. 자리가 파한 뒤 전상두는 인후와 변호인단을 무시하는 발언으로 도발을 하고, 인후는 반격의 실마리를 찾아나선다.

변호인단은 이번 사건이 사전에 준비한 쿠데타가 아니라는 사실을 입증해내야 하는 상황. 그런데 태주는 거짓말을 할 수 없다며 일관된 태도를 보이고 인후는 끝내 전략을 짜지 못한 채 재판이 시작된다. 결국 군 검찰 쪽으로 기울어진 채 재판은 잠시 멈춰진다.

그런데 그날 밤, 집으로 귀가하던 인후는 살벌한 위협을 받으며 의문의 장소로 납치를 당하고 만다. 순식간에 인후를 공포로 몰아넣은 배후는 과연 누구일까? 또 진실과 정의가 짓밟히는 환경 속, 인후와 태주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 돈을 쫓던 변호사에서 군부의 행태를 보고 점차 변해가는 인후의 모습을 만나볼 수 있다.

영화 행복의 나라 등장인물 & 출연진

행복의 나라 1
(C)영화 <행복의 나라> 인물관계도

정인후 역 – 조정석

박태주 변호인. 돈을 쫓는 생계형 변호사로, 모두가 망설이는 박태주 변호를 맡는다. 법정에는 정의가 아니라 이기고 지는 사람만 남는 것이라고 믿었지만, 점차 변화하기 시작한다.

박태주 역 – 이선균

중앙정보부장 수행비서관. 온 나라를 뒤흔든 10.26 사건에 휘말린 현직 군인이다. 군인으로서의 사명과 강직함이 높은 인물로, 거짓말로 재판을 이길 생각을 하지 않는다.

전상두 역 – 유재명

10.26 사건 합동수사단장. 실제로는 전두환을 모티브로 한 인물이다. 이 작품의 메인 빌런으로 육군참모총장과 충돌을 빚는다.

행복의 나라 실화 스토리

영화 행복의 나라는 10.26 사태의 실화를 담고 있다.

행복의 나라 5
(C)영화 <행복의 나라> 스틸 이미지

먼저 변호사 정인후는 대한민국 독립 유공자이자 인권변호사였던 태윤기를 포함한 여러 변호인단을 합쳐 만든 가상의 인물이다.

실제로 가장 큰 모티브가 된 태윤기는 1918년생으로 10.26 사건 당시 나이가 60세가 넘었지만, 조정석이 연기한 정인후는 청년으로 나온다. (단, 감독이 만들어낸 가공인물인 만큼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팩트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데, 정인후는 꽤 과장된 설정으로 역사적 왜곡이 있는 부분이 있으니 참고하자.)

박태주는 실존 인물 박흥주를 모티브로 만든 캐릭터이다. 육군 포병 대령으로 1979년 당시 중앙정보부장 수행비서관으로 재직 중이던 그는 10.26사건에 연류되면서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다. 추창민 감독은 대화를 많이 나누며

당시 합수부장 합동수사단장이었던 전상두전두환을 모티브로 한다. 다만, 영화적 연출로 팽팽한 긴장감을 전하기 위해 더 큰 권력을 쥐고 있도록 각색을 했다고 함. (배우 유재명은 분장이 아니라 실제로 자신의 머리를 깎았다는 비하인드가 있다.)

행복의 나라 무대인사 일정

행복의 나라
(C)영화 <행복의 나라> 무대인사 일정

(❗스포주의❗) 영화 행복의 나라 결말

행복의 나라 이선균
(C)영화 <행복의 나라> 스틸 이미지

정인후는 박태주가 내란을 일으키려 한 것이 아니었다는 것을 증명하려 한다. 그래서 박태주와 같은 차에 타고 있던 육군참모총장이자 계엄사령관인 ‘정진후(이원종 분)’의 증언을 받기 위해 노력한다.

정 총장은 재판의 공정석을 위해 진술을 거부하지만, 인후가 며칠을 설득한 끝에 마음을 돌리는데 성공한다.

그렇게 정 총장의 재판 출석을 약속 받지만, 그날 밤 신군부 전상두의 쿠데타에 의해 정진후가 구금되고 만다. 이에 정후는 마지막으로 전상두를 찾아가 박태주를 살려달라 무릎도 꿇어보지만, 결국 박태주를 살리는 것에 실패한다. 그렇게 박태주 대령은 사형 선고를 받고, 다음 해인 1980년에 생을 마감하였다는 자막으로 영화는 막을 내린다.

✅ 영화 행복의 나라는 같은 시대 배경을 담은 <서울의 봄>과 <남산의 부장들> 사이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10.26 사건의 생생한 현장을 만나고 싶은 분들은 먼저 영화 <서울의 봄>을 감상해보는 것도 추천! 영화를 보기 전 살펴보면 좋을 ✏️ 에디터의 <서울의 봄> 영화 리뷰글을 한 번 살펴보면 도움이 될듯.

https://hallyufeed.kr/movie-pilot-2024/
https://hallyufeed.kr/movie-revolver-2024/
https://hallyufeed.kr/netflix-movie-cross/

관련기사

인기있는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