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나자, 대구 지하철 1호선 여행!

 

대구 지하철 노선도 (대구 도시철도 공사)
대구 지하철 노선도 (대구 도시철도 공사)

1. 설화명곡역 (출발역)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위치한 대구도시철도 1호선 시종착역으로 2016년 9월 8일에 개업했습니다. 역 위치가 명곡리와 설화리 두 지역에 걸쳐 있어 고민 끝에 이름을 설화명곡역으로 정했습니다.

설화명곡역 자세히보기

2. 화원역

2016년 처음 영업을 개시했으며 신라시대 경덕왕이 가야산의 아름다운 꽃들을 보고 크게 감탄하였다는 데서 역명이 유래했습니다.

화원역 자세히보기

3. 대곡역

다른 1호선 역과는 다르게 1996년 12월 31일에 별도로 착공했습니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이 역까지 연장하면서 2002년 5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시종착역 기능을 담당했습니다.

대곡역 자세히보기

4. 진천역

1997년부터 2002년까지 1호선의 종점이었던 곳이라 환승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1997년 11월 26일 개업을 했으며 역 번호는 118번. 승강장은 2면 2선 상대식으로 되어있고, 출입구는 4곳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진천역 자세히보기

5. 월배역

6. 상인역

7. 월촌역

1997년 11월 26일 개업을 했으며 역 번호는 121번입니다. 승강장은 2면 2선 상대식으로 되어있고, 출입구는 총 8곳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근처에 월곡역사박물관, 월곡역사공원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월촌역 자세히보기

8. 송현역

9. 서부정류장역 (성당못역)

과거 ‘성당못역’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나 2019년 1월에 서부정류장으로 역명이 변경 되었습니다. 3번 출구 가까이에는 대구서부정류장과 관문시장이 위치하고 있어 역의 유동인구가 굉장히 많은 편입니다.

서부정류장역 자세히보기

10. 대명역

대구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의 1호선에 위치한 역으로 1997년 11월 26일 개업을 했으며 역 번호는 124번입니다. 역 주변은 주거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딱히 대표할 만한 건물이 없어 승객 수는 저조한 편.

대명역 자세히보기

11. 안지랑역

인근에 대구 가톨릭대학교병원이 위치하고 있어 부 역명이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역 번호는 125번. 승강장은 2면 2선 상대식으로 되어있고, 출입구는 4곳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안지랑역 자세히보기

12. 현충로역

역 근처에 위치한 앞산공원 기슭에 충혼탑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역 이름을 현충로역이라 지었습니다. 역 번호는 126번이며 승강장은 2면 2선 상대식, 출입구는 4곳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현충로역 자세히보기

13. 영대병원역

인근 지역 최대 병원 중의 하나인 영남대병원에서 역명이 유래되었습니다. 근방에 영남대학교 대구캠퍼스, 영남대학교병원, 명덕시장 등 다양한 시설이 자리잡고 있어 하루 평균 이용객이 많은 편입니다.

영대병원역 자세히보기

14. 교대역

15. 명덕역 (*환승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환승역입니다. 과거 근처에 4.19 혁명의 발상지임을 상징하는 2.28기념탑이 위치했었기에 이를 따 부역명을 ‘2.28민주운동기념회관’이라 칭했습니다.

명덕역 자세히보기

16. 반월당역 (*환승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지하철 2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입니다. 역명은 대구광역시에 최초로 세워진 반월당백화점에서 따왔습니다. 반월당역의 출구는 무려 23개로 대한민국 도시철도 중 가장 많은 출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월당역 자세히보기

17. 중앙로역

대구광역시의 최고 중심가인 중앙로에 위치하여 역 주변에 동성로, 시청 등 다양한 중요 시설들과 역사·문화시설이 밀집해있습니다. 2003년에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화재 참사가 일어나 한동안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습니다.

중앙로역 자세히보기

18. 대구역

대구지하철 1호선 전철역으로 1998년 5월 2일 개업을 했으며 역 번호는 132번입니다. 열차역인 대구역과 같은 역명을 사용하며 2번 출구 근처에 대구 기차역과 롯데백화점, 대구콘서트하우스가 자리합니다.

대구역 자세히보기

19. 칠성시장역

대구광역시 북구에 위치한 역으로 다양한 종류의 상권을 가진 칠성시장을 찾는 승객들이 수요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역명 및 지명은 선사 시대의 고인돌으로 추정되는 칠성바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칠성시장역 자세히보기

20. 신천역

21. 동대구역

대구를 대표하는 기차역인 동대구 기차역 지하에는 대구 도시철도의 1호선 동대구역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1998년 5월 2일 개업을 했으며 실내를 통해서 열차역과 환승할 수 있도록 연결된 구조.

동대구역 자세히보기

22. 동구청역

1998년 ‘큰고개역’으로 개업을 했으나 2017년 역명을 동구청역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승강장은 2면 2선 상대식이며 출입구는 4곳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큰고개역 주변에는 넓은 아파트단지와 주택가들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동구청역 자세히보기

23. 아양교역

역사 동쪽에 금호강이 흐르며 강을 가로지르는 아양교와 아양네거리 앞에 위치합니다. 대구국제공항과 가장 가까운 역이어서 공항으로 가는 승객들이 아양교역 수요의 큰 축을 차지합니다.

아양교역 자세히보기

24. 동촌역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역으로 1998년 5월 2일 개업을 했으며 역 번호는 138번입니다. 동촌역의 북동쪽으로는 아파트단지들이 있고, 남서쪽에는 금호강이 흐르고 있어 심도가 깊은 편입니다.

동촌역 자세히보기

25. 해안역

26. 방촌역

역 번호는 140번이며 승강장은 2면 2선 상대식으로 되어있고 출입구는 4곳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방촌역 주변에는 주택가가 넓게 위치하고 있으며, 3번 출입구 쪽에는 대구용호초등학교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방촌역 자세히보기

27. 율하역

28. 신기역

역 번호는 143번입니다. 승강장은 2면 2선 상대식으로 되어있고 출입구는 4곳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역명은 과거 새터라 불리던 지명을 한자식으로 신기동이라 고친 것을 따라 제정되었습니다.

신기역 자세히보기

29. 반야월역

30. 각산역

1998년 5월 2일 개업을 했으며 역 번호는 145번입니다. 승강장은 2면 2선 상대식. 출입구는 4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역의 북쪽은 안심공업단지, 역 남쪽에는 동호지구 신도시가 자리합니다.

각산역 자세히보기

31. 안심역 (도착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종점역이자 출발역이며 승강장은 1면 2선 섬식 승강장입니다. 출입구는 5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5번 출입구 쪽으로는 대구선반야월공원이 있습니다.

안심역 자세히보기

 

 

 

대구 지하철 노선도 보러가기!

 

 

 

원문 소스 출처 : 대구도시철도공사